5만 년의 비밀을 간직한 합천운석충돌구
[자막]
5만 년 전 어느날
하얀 섬광을 일으키며 한반도에 떨어진 직경 200m의 운석
1400메가톤의 폭발력 히로시마 원폭의 8만7500배
반경 50km 초토화 200km까지 몰아친 열폭풍
그리고 남겨진 그 날의 흔적
5만 년의 비밀을 간직한 합천운석충돌구
합천운석충돌구를 찾아가는 길
합천의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분지 퇴적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대암산
하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해발 591m 대암산의 가파른 비탈을 걸어 정상에 오르면 눈 앞에 펼쳐지는 놀라운 경관
드넓은 들판을 자랑하는 적중·초계분지
생성 원인을 밝힐 수 없어 지질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지형

합천운석충돌구 INDEPENDENT NEWSPAPER 2020년 12월
경남 합천 운석충돌구 5만년 전 지름 200m 소행성 떨어졌다
동서 7km, 남북 4km의 타원형 적중 초계분지는 약 5만 년 전 한반도에서 최초로 운석충돌 사건에 의해 만들어진 분지임이 지난 2020년 12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의해
확인되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밝혀낸 놀라운 사실
한반도 유일의 운석충돌구이자
ELSEVIER Contents lists available at ScienceDirect
Gondwana Research
jounal homepage: www.elsevier.com/locate/gr
GR Letter
First finding of impact cratering in the Korean Peninsula
Jaesoo Lim, Sei-sun Hong, Min Han, Sangheon Yi, Sung Won Kim*
Geolog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05-350, Republic of Korea

ARTICLE INFO
Article history:
Received 14 November 2020
Received in revised from 27 November 2020
Accepted 2 December 2020
Available online 8 December 2020
Keywords:
Imact crater
Shatter cone
Planar deformation features, PDFs
Impact breccia, Jeokjung-Chogye Basin, Korean Peninsula
ABSTRACT
The 7 km-diameter Jeokjung-Chogye Basin in Hapcheon,
bowl-shaped geomorphology. Here we report the first
based our investigations on a 142 m-deep core.
ments (0-6.2m). lacustrine sediments with fine
(72-142m).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at 130m and planar deformation features (PDFs)
bon dates of charcoals in the lacustrine
glacial period, although
ter procides a rare opportunity
trine sediments, and
of the DMF. Unit 2
jeokjung-Chogye-Basin. The upper lacustrine units suggest that the crater structure remained stable,
with a high water level, during deposition of the 66m-thick lake sediments.

Depth (m)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soil and channel deposits
(?) reworked charcoals(?)
SR = 2.11 mm/yr
(?)
lacustrine deposits with sinely laminated clayey silt and organic layers
(A)
lacustrine deposits with finely laminated silty clay
Base of post-impact sediment
impact breccia
(C)

(A)
(B)
(C)
5cm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14C age (yr BP)

Fig.3. Simplified lithological features and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of core CR05 from the
(mm/y).

A
Korea Peninsula China Hapcheon Japan
35 30 2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B
Hwang River C
Nakdong River
Jeokjung-Chogye Basin
2km
C
DMF Core CR05
CGF
SCF
2km
D
200.7m 346m 225m 591m Core CR05 339.2m
570m 654.1m
Fig. 1. Study area and the surrounding region (Jeokjung-Chogye Basin,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The
are Creta

동아시아 지역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운석 충돌구
CR05 130m

CR05-86m 50um
50um

Coundwana Research 91 (2021) 121-128
It has been suggested that PDF if clearly distinct from the deformation features produced in quartz by nonimpact processes, such as
cleavage or tectonic (metamorphic) deformation lamellae (French, 1998; Gurov and Koeberl, 2004; Fackelman et al., 2008; Ferriere et al., 2010;
Chen et al., 2010; French and Koeberl, 2010; Stoffler et al., 2018). As shown in Fig. 4, quartz grains at depths of 86 and 142m show clear PDF.
The observed PDF seems to have been altered. showing distinct and discontinuous small fluid inclusions. These inclusions in the PDF have been attributed to
recrystallization of the original amorphous ma-terial in the PDF, called decorated PDF (Stoffler and Langenhorst, 1994; French, 1998).
Notably, the quartz grains found at 86m show at least two prominent sets of decorated PDFs, as indicated by the arrows (Fig. 4).
These defomation effects correspond to 15-35 GPa (French; 1998; Stoffler et al., 2018).
In addition to PDF in quartz, kink bands may suggest a shock impact. Kinking is a deformation mod commonly seen in minerals with a sheet structure, such as
muscovite and biotite.
Kink bands were found frequently in our study because mica is common in the base rock in the basin. For example, Fid. 5 shows kink band deformation
in muscovite grains in the breccia. 3.3. Megascopic evidence for impact cratering

Shatter cones are a distinct shock-metamorphic
found in hand specimens and outcrops. Shatter cones can
kinds of rock, including sandstone, shale and
well-formed cones form in fine-grained rocks
et.al., 2008; Ferriere et al., 2010; French and
2018). Recently, Osinski and Ferriere
Fig.4. Decorated planar deformation features (PDFs) in quartz at depths of 86m and 142m from core CR05 from the leokjung-Chogye Basin,
cross-polarized light. Scale bars represent 50um.


0 core CR05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18

대암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높은 산지로 둘러싸인 밥그릇처럼 우묵한 분지
7km
운석 충돌 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에 최대너비 약 7km

단봉산(201m)
오봉산 (338m)
미타산 (663m)
천황산 (688m)
대암산 (591m)

호수퇴적층 충격각력암층
백악기 퇴적암 기반암
이 구덩이는 오랫동안 물을 가두는 호수가 되어
최대 70m가 넘는 호수퇴적층을 침전시키고는
물이 빠지며 지금의 분지를 만들었다

지하 140m. 이상 뚫고 내려간 시추작업으로 마침내 드러난 약 5만 년, 분지 형성의 역사
적중·초계 분지에서 회수한 시추코어 (20CR-05)
141 123 85 71 61 50 49 48 41 31 21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core CR05
142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깊이 6m 내외의 얕은 표토층 [지하 0~6.2m]
점토와 모래가 번갈아 쌓인 두꺼운 호수퇴적층 [지하 6.2m~72m]

호수 퇴적층에서 발견된 탄진물
탄질물 탄소연대 측정으로 밝혀진 운석충돌 시기 약 5만 년 전
암석이 바스러져 뭉쳐진 충격각력암층 [지하 72~142m]
암석이 바스러져 뭉쳐진 충격각력암층 [지하 72~142m]

석영 입자 안에서 발견된 강력한 충격파의 흔적인 '평면 변형구조' [지하 86m]
CR05-86 m
충격파에 의한 고열로 석영의 결정 내부가 녹아 끓어올랐던 면들의 배열 [지하 142m]
셰일층에서 발견된 충격원뿔암 [지하 130m]
강한 충격파가 전달되며, 독특한 원뿔 모양으로 발달한 암석의 미세한 균열들
지하의 흔적들이 알려주는 약 5만 년 전 충돌 후 평화로운 호수의 존재
지상의 분지 주변 곳곳에서도 발견되는 그 날의 흔적들

24번 국도변 충격각력암층
◀외부 분지 내부▶
충격각력암층 퇴적기반암
충격파로 부서진 암석의 강력한 지하 파동이 지표를 뚫고 올라와 아수라장이 된 현장
밀려 올라오며 교란된 충격각력암층
택리 충격각력암층
단단했던 기반암이 크고 작은 블록으로 부서져 쌓인 기이한 단면
상대리 무릉마을 충격용융각력암
묵방리 충격용융탄
가현리 충격용융탄
강력한 충격과 고열에 녹아버린 암석이 주변으로 쏟아져 내리며 식어 굳은 흔적들
택리 호수퇴적층
한적한 밭 가장자리 비탈에 노출된 깊고 잔잔했던 호수퇴적층의 흔적까지
한반도 최초이자 유일한 운석 충돌의 흔적이 밝혀진 이후
울주군 두동면
운석충돌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전국에서 쏟아지는 제보
올지전망대 이현리 후리 38º17'18''N 128º07'38''E
현리 해안면 오유리 만대리
국립 DMZ자생식물원
경기도 양주시
초계면 운석충돌 관련
강원도 양구 해안면 관련 운석충돌 가능성 확인...
운석충돌구 추측지역 확인제보드립니다!
양주시 운석구관련 질문
운석 충돌구일 수도 있을까요?
진천군 대소면

과거의 흔적을 넘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계속되는 연구
한반도에서 밝혀질 두 번째 운석충돌구는 과연 어디일까?

5만 년의 비밀을 간직한 합천운석충돌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