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OBAL
COOPERATION
DIVISION 대외협력실
COOPERATION
DIVISION 대외협력실
KIGAM이 글로벌 지구과학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대외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KIGAM
대외협력실
대외협력실은 KIGAM이 글로벌 지구과학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및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대외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과학기술외교 및 에너지·광물자원 정책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아시아지질자원위원회 (CCOP) 공동연구프로젝트 수행, 유네스코 지구과학
프로그램 (UNESCO International Geoscience Program, IGCP) 활동을 통한 국가차원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 (SDGs) 달성 기여, UN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기구 (CTBTO)와 한반도 지진자료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다양한 국제기구들과 활발히 공조하고 있다.
또한 한중일 지구과학기술 국제컨소시엄(Trilateral Geosummit) 구축, 저개발자원부국 대상 KIGAM의 기후변화대응 적정기술 이전 및 해외전문가 초청 재교육
프로그램 수행을 통해 전세계에 K-Geoscience*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100년의 역사를 지닌 KIGAM이 향후 글로벌리더로서 진취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진기지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 K-Geoscience: 지구과학 한류(Korean Geoscience & KIGAM Geoscience)를 상징하는 창의적 표현
국외 MOU 및 협력센터 현황

유럽 (8개국 11 MOU) | 노르웨이 (1) - NGU 덴마크 (1) - GEUS 독일 (3) - BGR, AWI, IFM-GEOMAR 러시아 (2) - GS RAS, University of Mines 영국 (1) - BGS 오스트리아 (1) - GBA 이탈리아 (1) - IRPI 핀란드 (1) - GTK |
---|---|
아프리카 (1개국 1 MOU) | 에티오피아 (1) - AAiT |
아시아 (11개국 19 MOU) | 동티모르 (1) - IPG 말레이시아 (1) - JMG 몽골 (2) - MRPAM, MUST 베트남 (2) - HCMUT, VIGMR 아랍에미레이트 (1) - ADNOC 우즈베키스탄 (1) - GOSCOMGEOLOGY 이란 (1) - RIPI 인도네시아 (2) ? ARDEMR, DGGMR 일본 (4) ? AIST GSJ, JAMSTEC, NIED 중국 (3) - CGS, CEA, IGGCAS 카자흐스탄 (1) - Kazgeology |
오세아니아 (1개국 1 MOU) | 호주 (1) - CSIRO, |
북아메리카 (2개국 9 MOU) | 미국 (7) - USGS, AFTAC, OSU, NSF, Planetary Science Institute, Princeton University, Virginia Tech, 캐나다 (2) - NRCan, CANMET |
남아메리카 (1개국 1 MOU) | 칠레 (1) ? SERNAGEOMIN |
국제기구 (3 MOU) | 피지 (1) - The Pacific Community (Former SOPAC) 방콕 (2) - CCOP, UNESCO-BGK |
해외협력연구센터 (1) | 베트남 (1) - VIGMR |
MOU Total: 45 MOU 협력국가: 24개국, 국제기구: 3개 기구, 해외협력연구센터: 1개 센터 |

글로벌 협력본부 센터바로가기
- 담당부서 대외협력실
- 담당자 노하영
- 연락처 042-868-3272
최근업데이트
202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