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암
화성암은 지구 내부에 녹아 있는 암석성분인 마그마가 주변 암석과의 밀도 차이에 의해 지표면으로 상승하며 굳어진 암석이기 때문에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분류가 까다롭다.
따라서 육안상 분류가 가능하도록 몇 가지 기준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야외조사에 이용하고 있다.
우선 화성암은 마그마의 종류와 굳어질 당시의 깊이나 압력 등 외부환경에 따라서 암석의 광물입자 크기와 광물성분에서 다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성 당시의 깊이’를 주요 기준으로 삼는다. 다음으로 지각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된 SiO2의 함량을 또 다른 분류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생성 깊이에 따라 유리질 또는 세립질의 화산암, 반정질의 반심성암, 조립질의 심성암으로 구분하며, SiO2 함량에 따라 초염기성암,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으로 분류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