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지구개발 및 탐사 소속 자원탐사개발연구본부 -
광상지질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옥천변성대의 잠재 금광화대 탐지를 위한 생지화학 탐사기술 고도화
영문 Advancing Biogeochemical Exploration Techniques for Detecting Concealed Gold Mineralization Zone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연구기간 2025.09.01 ~ 2028.08.31
연구비 190,113,000원
연구책임자 조재국
연구내용 연구목표 ○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특성에 기반한 잠두 금광상 탐지 지표 정립 ○ 옥천변성대 공주-부여 지역 금광상에 특화된 생지화학 탐사 플랫폼 개발 및 적용
연구내용 1차년도: 탐사 및 분석기반 구축 ○ 테스트베드 설정; 임천광산, 진산광산, 삼광광산 등 가행이력 기반 시범지 선정 ○ 지표조사 및 가스 채취후보지 설정, 식생군 파악 ○ 금광상 관련 지질 시료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반 확립 ○ 함금(추정) 광석 및 풍화토 자기 특성 분석 기반 확립 ○ 시료 채취 및 분석 전처리법(점토입자 분리, 식생 건조·분쇄 등) 확립 2차년도: 분석기법 검증 및 상관성 해석 ○ 가스 포획량 정량화 및 분석의 일관성 확보 ○ 식생, 가스, 점토, 광석 간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상관성 해석 ○ 함금 광석 및 풍화토 자기 특성 해석 ○ 머신러닝 기반 다변량 통계(PCA 등)를 통해 이상대 후보 예측모델 구축 3차년도: 일반화 및 지역 확장 ○ 제2 테스트베드 설정(미탐사 지역) ○ 기존 분석기법 재적용, 복원성 검증 ○ GIS 기반 생지화학 이상대 모델 시각화
기대성과 ○ 잠재 금광체 탐지 기술의 혁신 - 기존 탐사기술(물리/화학탐사)이 어려운 피복하부 금광상 탐지 문제를 해결 - 뿌리, 토양가스, 미생물 등 비전통적 생지화학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정밀탐사 전단계에서의 사전 탐지 정확도 향상 - 다중 동위원소(δ34S, δ13C, δ15N, δ56Fe 등) 기반의 복합 해석으로 신뢰성 있는 이상대 판단 가능 ○ 친환경 저비용 광물자원 탐사 모델 구현 - 비파괴적 시료 채취 기반의 탐사기법으로 환경 훼손 최소화 - 토양가스·식생 통합 플랫폼은 지속적 관측이 가능하고 민간에 이전 가능한 실용적 모델로 전환 가능 -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하는 ESG 기반 탐사기술로 발전 가능성 확보 ○ 자원 자립률 제고 및 국가 광물전략 기여 - 국내 금광화대 발굴 확대를 통해 전략광물(금)의 자립도 향상 - 한국형 생지화학 탐사기술의 표준화 및 수출 가능성 확보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