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 동북동 약 60km 해역에서 2023년 4월 23일 이후 6월 20일까지 232회의 지진과 5월 15일 국지규모 4.5 지진(기상청 기준)이 발생하여 지진 발생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동해(강원) 해역에서 발생한 연속지진의 특성과 동해 주요 단층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지진 자료 및 동해 해저 단층 자료 분석을 수행했다.
2023년 2월, 튀르키예 대지진으로 인해 5만 명 이상의 인명피해를 포함한 지진재해가 발생하였고 약 7,000km 떨어진 한반도에서도 지진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를 계기로 지진 및 지진재해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는 ‘23년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국외 주요 지진과 관련된 연구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스마트 기술은 인간이 발전하는 강력한 무기가 되었다. 현대 센서로 만들어낸 지식은 깊은 바다와, 드넓은 땅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기회를 주었다. 이제 더 먼 곳을 향해 뛰어갈 준비를 해야 한다. 지구와의 지속적인 상생을 위해, 우린 더 탐구해야 한다. 더 건강한 지구를 만들 방법을. 더 지구다운 지구를 만날 그날을.
거대한 태평양 바닷속에 묻혀있는 숨겨진 해저자원, 희토류글 김윤미 선임연구원(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 희토류. 몇 년 전부터 우리는 신문과 방송을 통해 희토류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되었다.학창 시절 배웠던 주기율표를 기억한다고 하더라도 희토류 원소를 들었던 기억은 없을 정도로 생소한 희토류는 최근 들어 점점 ..
탄소중립과 에너지 자원 개발을 위한 상생 연구 끊임없는 기후위기 시대. 우리는 난데없는 지구환경의 변화 속에 살아가고 있다. 탄소중립이 시급한 이 시대에, 인간이 추구하는 에너지를 함께 사용하며 상생할 수는 없을까. 끓어오르는 대지를 바라보며, KIGAM의 두 연구자는 탄소중립과 안전한 에너지 자원 확보를 두고 다..
스마트 기술 혁신으로 이어가는 지질자원의 역사 험준한 산지를 오르며 직접 탐사에 나섰던 수고로움이 추억으로 남겨질 세상이 왔다.스마트 기술의 도래는 사람에게 주어진 역량을 넘어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며, 또 다른 지질자원 연구의 길을 개척하고 있다. 여태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보여주려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