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기타 | 소속 | 국토우주지질연구본부 - 국토우주지질연구본부 |
|
---|---|---|---|---|
과제명 | 국문 | 전국규모/부지규모 지각운동 지속안정성 영향인자 특성화 및 모델개발 | ||
영문 | Characterization and model development of factors affecting the tectonic movements on a national/regional scale | |||
연구기간 | 2024.04.01 ~ 2029.12.31 | |||
연구비 | 6,813,000,000원 | |||
연구책임자 | 김성원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지각운동 지속안정성 영향인자 특성화, 단기/중장기 효과 분석과 변화 예측 모델 개발 및 지각변동 효과 예측결과 기반 처분장 구축 시 고려할 핵심 영향 요소 확정 | ||
연구내용 | [1단계: 2024-2026] ㅇ 지각운동 지속안전성 영향인자(지진, 활성단층, 융기/침식, 화산, 마그마활동, 맨틀유체, 기반암단층, 지화학특성) 해외 선진기관 동향 및 연구사례 분석 ㅇ 지각운동 지속안정성 영향인자 원시 데이터셋 구축 ㅇ 지체구조구별 지각운동 영향인자 정량화, 상관관계/패턴분석 기반 특성화 ㅇ 지각운동 수집·생산·분석·관리 시스템 기반 테이터플랫폼 구축 ㅇ 영향인자 특성화 기반 전주기 지각운동모델 입력자료 활용 평가인자 도출 [2단계: 2027-2029] ㅇ 일시적(이벤트규모) 지각운동(지진) 평가요소 기반 일시적 지각운동 모델 및 재해도 평가기술 개발 ㅇ 중장기 지각운동(활성단층, 화산) 평가요소 기반 지각운동 재발 시나리오 개발 ㅇ 초장기 지각운동 평가요소 기반 미래 10만년 한반도 지각운동 통합 모델 개발 | |||
기대성과 | ㅇ 특성화 기술 및 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관리 ㅇ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 미래 지각변형 변화 모델 결과는 필요 기관의 요구에 맞춰 활용 ㅇ 처분시스템 인허가에 필요한 종합안전성 입증 보고서의 입력자료 제공 ㅇ 한반도 환경에 적합한 핵심 기반기술에 대한 기술자립 ㅇ 미래 지각변형 변화 모델 구축을 위한 필수 세부 인자 고도화 ㅇ 지각변형정보 정량화를 통한 전 국토 단위 위험도 작성 기초자료 제공 ㅇ 고준위처분시설 포함 국가 주요산업시설 및 사회기반시설 설계·운영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 ㅇ 고준위처분시설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 및 전국민적 공감대 형성 ㅇ 정부의 안전 정책에 대한 신뢰도 확보 ㅇ 지각운동관련 산학연 기관간 인적·물적 교류를 통한 협력연구 기반 구축 ㅇ 지각운동정보 생산 및 구축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단층-지진관련 연구 인력풀 증대 |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0건) | ||||
보고서(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