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태백 실증 유튜브
  • 미술대회 영상
  • 출연연 과학치안협의체 '문제해결제안' 안내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국토우주지질연구본부 -
우주자원개발센터
과제명 국문 부지규모 장기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한반도 해수면 변동 개념모델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a conceptual sea level model on the Korean Peninsula for long-term radiological impact assessments
연구기간 2024.04.01 ~ 2029.12.31
연구비 104,000,000원
연구책임자 임재수
연구내용 연구목표 ㅇ한반도 지역에 특화된 해수면 변동 개념모델과 초장기 기후변화 예측 도구 개발을 통한 한반도 지역의 부지규모 기후․환경 장기변화 규명 및 예측
연구내용 -과거 한반도 해수면변동 특성에서 도출된 한반도 해수면변동 개념모델 개발 -지구공전궤도 변화 및 빙하기-간빙기간 순환에 따른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십만년 이상의 기후변화 모의도구 개발 -기후변화 모의도구와 한반도 지역 해수면변동 개념모델을 이용한 한반도 지역의 초장기 해수면 변동 및 광역부지 규모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기대성과 ㅇ국내에 아직 진행되지 않은 초장기 기후변화 모의도구의 개발은 최근 의료, 보건, 재난대응, 농업 등 관련 산업 분야가 확장되고 있는 기후예측 기술분야에서도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 ㅇ과학적 근거를 통해 신뢰도가 확보된 해수면변동 개념모델, 초장기 기후변화 모의도구, 한반도 지역의 초장기 변화 시나리오는 원자력, 기후공학, 탄소포집 등 해당 기술이 필요한 분야의 관련 기술 발전과 확장에 기여 ㅇ초장기 기후변화 모의도구의 시공간 해상도 향상과 예측 신뢰도 확보는 고준위 폐기물 부지 선정의 사회적 동의 과정에서의 비용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ㅇ구축된 전지구 기후변화 모의도구 및 한반도 고해상도 기후변화 상세화 도구, 지역규모 초장기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프레임워크는 초장기 기후변화 모의가 필요한 과학 및 산업분야에서 공동 활용이 가능함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