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산업생산 및 기술 | 소속 | 자원활용연구본부 - 순환자원연구센터 |
|
---|---|---|---|---|
과제명 | 국문 | 니켈, 크롬 함유 폐스크랩 내 니켈/크롬 추출 및 소재화를 위한 신제련/추출 공정 기술 개발 | ||
영문 | Development of Integrated Ni/Cr Materialization Technology based on New Metallurgy Technology from Waste Scrap containing Ni and Cr | |||
연구기간 | 2024.09.01 ~ 2028.12.31 | |||
연구비 | 1,060,000,000원 | |||
연구책임자 | 김홍인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니켈, 크롬 함유 폐스크랩 내 니켈/크롬 추출 및 소재화를 위한 신제련/추출 공정 기술 개발 | ||
연구내용 | - 알칼리 퓨전법, 할라이드 교환반응 등을 이용한 니켈, 크롬 함유 스크랩의 금속 분리 회수 추출 기술 개발 - 액상금속 활용, 친환경 니켈, 크롬 함유 스크랩의 금속 분리 회수 원천기술 개발 - EA-P 기술 활용, 나노분말화를 통한 침출 효율 극대화 기술개발 - 분리막 활용, Fe-Ni 합금 직접 침출 기술 개발 - 용매추출 및 이온교환수지 활용 고순도 니켈 화합물 제조기술 개발 - 황산니켈 제조 PP급 구축 및 최적화, 황산니켈 시제품 제조 - 저품위+고품위 황산제일철 활용 LFP 제조 원천기술 개발 - 수요기업 평가 및 관련 인허가 취득 - 크롬 화합물 합성 및 정제기술 개발 - 크롬 화합물 제조를 위한 PP급 (50L 급) 설계 및 구축, 최적화 | |||
기대성과 | [과학⋅기술적 측면] - 니켈, 크롬 함유 스크랩 활용, 희소금속 소재생산 내재화 및 국내 자체 기술확보 가능 - 폐스크랩 내 함유 금속 고효율 습식제련 공정 기술을 통해 고순도 금속을 확보 - 이온교환수지와 용매추출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단수 절감, 향후 추출 시 본 기술 적용을 통해 원가 절감 가능 [경제적․사회적 측면] - 유가금속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니켈 화합물 및 크롬화합물, 철화합물로 제조함으로써 경제적 효과 달성 가능 [인프라 측면] - STS 스크랩의 다른 활용처로서 니켈, 크롬, 철 화합물 제조에 활용, 스크랩 재고 소진으로 인한 STS 관련 산업의 성장 및 최후방 산업으로부터 스크랩 취급 산업까지 전 산업의 신 밸류체인을 형성할 수 있음 |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0건) | ||||
보고서(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