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태백 실증 유튜브
  • 2025년 집중안전점검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에너지의 생산, 배분 및 합리적 이용 소속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
석유에너지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수소·헬륨 시스템 분석 원천기술 개발 및 서남해 석유부존 유망성 평가 연구
영문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for hydrogen & helium system analysi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etroleum potential in the South Sea and Yellow Sea
연구기간 2025.01.01 ~ 2030.12.31
연구비 3,626,584,000원
연구책임자 안태웅
연구내용 연구목표 ◦ 지각 내 3종 가스(수소, 헬륨, 이산화탄소) 시스템 분석 원천기술 개발 ◦ 서남해 주요 분지 발달사 규명 및 석유부존 유망성 평가기술 개발
연구내용 ◦ 다종가스 생성지층 특성 분석 및 수소/헬륨 생성기작 평가: 서캐나다 분지 내 생산정 다종가스 분석과 국내 서해 등 시추공 코어 분석을 통한 암석과 유체에 따른 비교 분석 및 다종가스시스템 모델링 고도화 및 분석 데이터 제공 ◦ 저류암/덮개암 내 다상 유체 유동/분포 정량화 및 밀폐 성능 평가 기술: 주요 유형의 저류암/덮개암을 구분 및 특성화하여, 가스-물 유동/분포 특성 정량화, 암석과 유체의 반응 및 밀폐 성능 제어인자 도출 ◦ 다종가스 시스템 모델링 기술 개발: 다종가스의 생성-이동-집적 메커니즘에 따른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전산 모델 구축. 이산화탄소로부터 시작하여 헬륨과 수소로 다종가스 분석을 확장하며, 분지 모델링에 따른 생성, 이동 및 집적 메커니즘 연계 및 전산 실험을 통한 다종가스 시스템 모델링 ◦ 최신 분석기법을 적용한 서남해지역 석유부존 유망성 종합 평가: 최신 지구화학 분석기술(HAWK-2, 라만 분광기, 반사현미경)을 활용해 서남해 시추공 대상 지화학 분석 결과 도출, 열적성숙도 모델 확보 및 근원암 평가기술 고도화 ◦ 육해상 연계 퇴적층 분포 및 분지 발달사 규명: 3D 탄성파 탐사 데이터와 시추공 분석을 통합하여 유망 구조의 분포와 자원의 집적 가능성을 시각화하고, 서남해 지역의 광역 3차원 지질모델 도출
기대성과 ◦ 국내 대륙붕 주요 분지에 최적화된 석유시스템 특성화 기술력 자체 확보로 국내 해역 탐사자료들의 유기적 해석 및 석유부존 유망 저류층 선정에 활용 ◦ 국내 육해상 연계 지구조 발달사 연구를 위한 토대 마련 및 천연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자료 구축 ◦ 국내 해역 주요 분지의 정밀 층서-구조 및 석유시스템 모델 제공으로 자원개발기업의 탐사/개발 활동 지원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 기여 ◦ 미개척 분야인 자연수소 시스템 분석 원천기술 확보로 수소 에너지 분야 기술 선도 및 국내 자연수소 탐사/개발/생산의 과학기술적 토대 마련 ◦ 탄화수소 및 다종가스 거동 분석을 통해 지구 내부의 지질학적, 화학적, 물리학적 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증진 및 새로운 연구 분야 개척 촉진 ◦ 국내 자연수소 탐사/개발/생산을 위한 미래원천기술 개발로 신산업 육성, 신규 인프라 구축 촉진, 일자리 창출 등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 촉진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