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지구개발 및 탐사 | 소속 |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 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 |
|
---|---|---|---|---|
과제명 | 국문 | 국가지질도·지질주제도 디지털전환(DX)과 기반암 내 유망·유해원소 연구(2) | ||
영문 | Digital transformation(DX) of national geological thematic maps and research on promising and hazardous elements from bedrock (2) | |||
연구기간 | 2025.01.01 ~ 2030.12.31 | |||
연구비 | 602,000,000원 | |||
연구책임자 | 엄인권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 국가지질도·지질주제도 디지털 발간 ◦ 한반도 통합층서 정립 및 KIGAM Lexicon 디지털서비스 ◦ 지질기원 유망·유해원소 분포 특성 연구 및 디지털 분포도 제작 | ||
연구내용 | ◦1:5만 미발간 국가기본지질도 신규 제작(연도 등 10도엽) ◦개정판 대한지질도(1:100만) 및 설명서 제작 ◦1:10만 해저지질도(구룡포-울산 연안 해역) 제작 ◦1:25만 광역 제4기 지질도 5매 및 전국 통합 제4기 지질도 제작 ◦국가 고생대 층서단위명 체계화 및 개편 ◦KIGAM Lexicon 고생대편 디지털서비스 ◦1:25만 강릉·속초, 안동도폭 기반암 주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 원소 43종, 방사성 핵종 3종, 동위원소 2종에 대한 종합 정보 DB 구축 ◦다각적 공간 통계기법을 활용한 1:25만 강릉, 속초, 안동 및 1:50만 한반도 중부지역 지질기원 유망·유해원소 디지털 분포도 제작 ◦지구환경 다중 매체(기반암, 지하수, 토양) 간 유망·유해원소 상관성 및 상호작용 분석 ◦국내 천연수소 유망 암종 대상 천연수소 정량 데이터 확보 및 광역 잠재성 평가 | |||
기대성과 | ◦정부 및 지자체, 산업계,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다양한 수요처에서 활용되는 기초자료 제공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등 국가중요시설물 부지 조사 및 평가 기술 자립화에 기여 ◦동해안 및 동해 대륙붕 지역 해상풍력단지 개발에 중요한 해저지질정보 제공 ◦미래 기후변화 관련 재해(태풍,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 등) 발생 예측 진단 활용 ◦체계화된 지질단위명 검색시스템과 통합층서 제공으로 국토활용 시 대상지역 지질 및 지층에 대한 혼선 최소화 및 데이터 접근·활용성 제고 ◦환경 및 인체 영향 가능성이 있는 유해원소(라돈, 비소, 불소 등)의 분포 및 거동특성 파악을 통한 토양·지하수오염 유발 인자 진단 기술 확보 ◦기반암 기원 유망원소 자료제공을 통해 국토 부존 전략 핵심광물 탐사 및 개발에 활용 |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0건) | ||||
보고서(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