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태백 실증 유튜브
  • 2025년 집중안전점검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지구개발 및 탐사 소속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
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한계 해역 탐사기술 개발과 해저 통합 지질정보 구축
영문 Development of Marine Frontier Exploration Technologies and Integrated Submarine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연구기간 2025.01.01 ~ 2030.12.31
연구비 13,812,000,000원
연구책임자 최윤석
연구내용 연구목표 - 한반도 주변 한계해역 탐사기술 개발을 통한 심부 기반암 하부구조·지각 속도모델 도출 및 고효율 탐사 기반 3D 정밀 층서구조모델 구축 - 한반도 황해 및 남해 중·천부 고퇴적체 발달 특성 규명을 통한 해저 통합지질정보 구축
연구내용 가. 한반도 주변 한계해역 심부/정밀 탐사기술 확보 및 자료처리/영상화 나. 한계해역 탐사자료 처리 고도화를 통한 이방성/복합 속도모델 및 AI 자동해석 기술 개발 다.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 기반 중·천부 고퇴적체 정밀 영상화 라. 해저 코어 기반 속성분석 마. 탄성파 자료 연계 지층발달사 규명
기대성과 가. 기술적 측면 - 한계극복 해양 탐사기술을 통해 한반도 해역의 심부 지층 구조를 정밀 영상화함으로써 기반암 하부·지각구조 규명 및 지진의 발생 메커니즘 확인 - 탐사 수행이 어려운 한계 해역에서 고효율 삼중-송신원 3D 탐사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3D 정밀 영상볼륨 도출 - AI 기반 탐사자료 해석 및 파형역산 속도모델링 자동화 기술은 사람의 주관을 최대한 배제하여 정확성 높은 결과 도출 - 국내 대륙붕 자원, 해양영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해양지질정보 구축과 기존 천부 지층 위주의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중·천부 지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을 통해 향후 사회현안문제(해양자원확보, 해양 연안 통합 개발, 해양영토 안보, 기후변화 대응 등) 해결에 신속 대응 가능 - 신규 물리탐사선 탐해3호를 활용한 중·천부 지구물리자료 확보, 해저 중·천부 시추 코어 획득 및 분석, 해저지질정보 통합 가시화 구현 등을 통해 과거 기술과 차별화되는 고도화된 해양 조사 기술 확보 나. 경제·산업적 측면 - 한계 해역에서 삼중-송신원 3D 탐사 기술을 개발하여 탐사 효율성 극대화 및 탐사 비용 절감 - AI 기반 자료해석 및 파동방정식 기반 속도 모델링은 세계선도 기술로서 자체 in-house 모듈 구축을 통해 세계 탐사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가능 - AI 기반 자료해석은 확장성이 뛰어난 기술로 향후 자원탐사, CCS 저장소 탐사, CCS/가스하이드레이트 모니터링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 - 해양환경문제 및 어민 어업 활동 제한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바다 골재 자원에 대한 정보(가용 단지, 위치, 품위, 부존량 등)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골재 수급 및 대규모 국가 개발 사업의 골재 자원 확보에 기여 - 고수로 및 고퇴적층에서의 광물 자원의 매장 가능성 확인 및 자원 정보 제공 - 향후 중국·일본과 해양 경계 획정의 해양 영토 분쟁에 대비한 대륙붕 해저지질 정보 제공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