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태백 실증 유튜브
  • 2025년 집중안전점검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기타 소속 글로벌협력본부 -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
과제명 국문 지질자원 글로벌 인재 양성
영문 Nurturing global talent in geoscience and resource engineering
연구기간 2025.01.01 ~ 2030.12.31
연구비 0원
연구책임자 이수정
연구내용 연구목표 ◦ 글로벌과정은 자원협력교육, 전문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여 국제협력 발굴·지원 ◦ 미래성장과정은 미래인재 엘리트 교육을 실시하여 지질자원분야 인재 유입 촉진 ◦ 소통확산과정은 과학교사연수, 고급과학탐구교육을 실시하여 대중의 지구과학리터러시 확대
연구내용 ⦁ISGEO 미래 전략 수립 ⦁협력국 수요에 맞는 커리큘럼 개발 - 핵심광물 관련 협력국과 국제기구 대상 수요조사 및 교육 기획 - 교육시기 정례화로 조기 계획수립 - 국제공동연구 지원 교육프로그램 기획 ⦁연구부서 수요 맞춤형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TechFrontier Academy, SkillMaster Academy) 개발 및 운영 *TechFrontier Academy: 신기술 교육 SkillMaster Academy: 전문업무 스킬업 Bridging Science & Support: 연구행정 교육 ⦁창의적 지질자원 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지질자원 융합교육 방법론 개발 - 체험교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원내 강사 육성 ⦁지질과학 대중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현장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추진 - 국민소통을 위한 공개강좌
기대성과 ◦ 핵심광물 관련 주요 협력국 대상 전략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핵심광물이 국가 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와 같은 자원수요국의 입장에서 국제 협력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함 - 디리스킹(derisking)과 공급망 전쟁은 세계 각국의 자국우선주위로 강화되고 있어 자원보유국인 주요 협력국과의 파트너십은 한 단계 격상시킬 수 있는 기본에 충실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함. 개인 간 소통과 친밀감을 기반으로 보다 강화된 협력관계 수립에 공헌 ◦ 지질자원 융합인재 양성 및 지질과학 대중화의 선두주자 역할 - 지질자원 분야의 글로벌 교육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최신 지질자원 분야 전문교육, 미래를 대비한 미래과정 및 지질자원 분야 전공자를 위한 예비전문가 과정 그리고 지질과학 대중화를 위한 국민소통과정 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필요 - (글로벌과정) 과학기술 인력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인재 맞춤형 교육 추진 - (미래과정) 초·중등 학생들이 STEM 분야에 흥미를 갖도록 자기주도적 체험을 경험하도록 하며, 지질자원분야 대학(원)생들의 예비 전문가 과정을 통한 융합인재 체험 교육 수행 - (소통과정) 국민의 삶과 밀접한 지질과학 정보를 확산하기 위한 국민 소통 교육으로 과학대중화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