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지구개발 및 탐사 |
소속 |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 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 |
과제명 |
국문 |
태평양 해저퇴적물 희토류 부존 및 부존기작 연구 |
영문 |
Study on concentration and enrichment mechanism of rare-earth elements in deep-sea sediments of the Pacific |
연구기간 |
2020.01.01 ~ 2023.12.31 |
연구비 |
1,741,699,000원 |
연구책임자 |
김윤미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태평양 해저퇴적물 희토류 자원개발 가능성 탐색을 위한 희토류 부존 및 부존기작 규명 |
연구내용 |
가. 태평양 해저퇴적물 희토류 부존기작 규명
- 지화학/광물학/퇴적학 특성 기반 해저퇴적물 희토류 부존 지표인자 파악
- 미국 NOAA-NCEI(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로부터 획득한 지질/지구물리자료를 해석하여 연구지역의 지질환경 도출
- 희토류 지표인자 분석을 통해 부존특성을 도출하고 지질환경 기반 해저퇴적물 희토류 부존기작 모델 제시
나. 태평양 해저퇴적물 다각도 희토류 부존농도 수직분포도 확보
- 태평양 연구지역 해저퇴적물 특성 반영 희토류 최적 추출기법 및 적합 표준시료 선정
- 대양시추사업 태평양 해저퇴적물 가용 시추코어 확인 및 기존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희토류 부존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
- 대양시추사업으로부터 태평양 시추코어 약 10-12개의 시추코어에서 2m 간격으로 해저 100m까지 시추시료 약 500여개 확보
- 선정된 표준시료를 적용하여 희토류 원소별 부존농도 분석결과 확보
- 경제성 있는 희토류 자원정보 확보를 위해 다각도 희토류(ΣREE+Y, LREE, HREE, 고부가가치 희토류 5개 원소) 부존농도 수직분포도(심도: 100m) 구축 |
기대성과 |
가. 기술적 측면
- 희토류 집적층 부존기작 분석은 유사 퇴적 환경의 전 세계 퇴적층에 적용 가능
- 수심 2,000m 이상 심해 해저 희토류 자원개발 타당성 확보
나. 경제 산업적 측면
- 4차 산업 활성화로 희토류 수요 증가에 따른 국가 미래 산업 자원 확보
- 육상 광구에 국한된 희토류 개발을 해저광구로 확대함으로써 안정적 공급원 확보 및 해양영토 자원주권 강화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2건) |
|
보고서(1건) |
보고서 목록
보고서명 |
저자 |
원문보기 |
태평양 해저퇴적물 희토류 부존 특성 및 기작 연구 |
김윤미 |
원문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