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화재 예방을 위해 집에서는 불필요한 가연물(헌옷, 신문, 박스 등)을 쌓아두지 말고, 인화성 액체나 가스를 방치하지 않으며 전선을 보이지 않는 곳에 늘어뜨리지 않습니다. 라이터와 성냥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고, 가스불을 켜둔 채 주방을 비우지 않으며 흡연은 자제하거나 큰 재떨이를 사용합니다.

고층 아파트에서는 발코니 비상문과 칸막이벽을 확인하고 통행을 막지 않으며, 피난계단이 연기에 오염될 경우 창문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비합니다. 주상복합은 밀폐 가능한 작은방 등 안전구역을 확보합니다. 사무실은 정기적으로 대피훈련에 참여하고 전기기구를 점검하며, 비상구에 물건을 두지 않습니다.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때는 출입구 외 비상구 위치와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지하층이나 미로형 건물은 대피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전기 안전을 위해 합선 시 정격 퓨즈와 차단기를 사용하고 노후 전선을 교체하며, 누전 시 회로별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피복 손상을 점검합니다. 스파크 발생을 막기 위해 사용 후 플러그를 뽑고 분진을 제거하며 문어발식 사용을 금지합니다.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장판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백열전구 주변에 가연물을 두지 않습니다.

화재 발생 시에는 “불이야”라고 외치고 경보벨을 누르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합니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는 젖은 담요나 수건으로 몸을 감싸고, 문 손잡이가 뜨거우면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습니다. 연기가 많을 때는 낮은 자세로 이동하며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습니다. 옷에 불이 붙으면 바닥에서 뒹굴어 끕니다. 밖으로 나온 뒤에는 절대 재진입하지 않습니다.

119 신고 시에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화재 원인을 침착하게 알리고 소방서에서 확인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습니다. 공중전화와 휴대전화 모두 긴급통화가 가능하며 장난전화는 금지됩니다.

지하철 화재 시에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하고 소화기를 사용하며, 문이 열리지 않으면 망치나 소화기로 유리창을 깨고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합니다. 지하상가 화재 시에는 경보기를 누르고 침착하게 한 방향으로 대피합니다. 고층건물 화재 시에는 문을 닫고 탈출하며 낮은 자세로 이동하고, 밖으로 나오면 안전한 장소에서 인원을 확인하고 구조대원에게 정보를 전달합니다.

옥내소화전은 발신기 스위치를 누른 뒤 소화전 문을 열고 호스와 노즐을 꺼내 밸브를 개방하여 불이 난 곳에 물을 뿌립니다.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연구본부소개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논문 상세정보
학회/학술지명 GEOSCIENCES JOURNAL 주저자(교신저자) 이항복
발표매체 SCI Expanded 국가명 한국
논문명 국문 Fluid flow through rough-walled rock fractures with hydrophobic surfaces
영문 Fluid flow through rough-walled rock fractures with hydrophobic surfaces
발표일 2014.12.01
관련과제 지하암반내 열에너지 저장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