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연구본부소개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지구개발 및 탐사 소속 지질조사연구본부 -
활성지구조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서부 경기지괴 지구조 진화 및 지질정보 구축
영문 Tectonic evolution of the western Gyeonggi Block and construction of geologic DB system
연구기간 2012.01.01 ~ 2014.12.31
연구비 7,334,450,000원
연구책임자 최성자
연구내용 연구목표 1. 서부 경기지괴의 층서 재정립 및 지각진화 특성 규명
2. 모바일 환경지원 지질정보시스템 단계적 구축
3. 지질주제도 작성(서부 경기지괴 층서·지구조도(축척 1/10만), 중생대 동아시아 고지리복원도(120-240Ma))
연구내용 1. 서부 경기지괴의 원생누대-중생대 정밀 층서분대 및 지구조 특성 규명
- 변성퇴적암 및 변성화산암체의 산상/분포/암층서/지구조 암상 단위 정립
- 암석-광물 지화학-동위원소 분석 및 각종 연대측정 수행
- 고생대 지구조 사건 도출 및 지구조 환경 해석
2. 경기지괴 서남단 지질구조 특성 규명
- 서천-고군산도 지역의 지질구조 기하, 운동학적 분석, 변형사 해석 및 지구조 모델
3. 동북아 주요 지괴와의 지구조적 특성 대비
- 중국 칠링대 및 일본 히다대에 대한 암석학, 지화학 및 연대측정 자료 구축
- 동북아 주요 지괴들의 지구조적 상호 연계성 및 진화 모델 완성
4. 층서·지구조도 핵심 지질요소 추출 및 분석
5. 층서-지구조도(축척 1:10만) 작성 및 발간
- 서부 경기지괴 원생누대-중생대 층서-지구조도 작성 및 발간
- 층서-지구조 관련 지질자료 종합 DB 구축
5. 동아시아 중생대 고지리 복원
- 동아시아 충돌대와 탄생 그리고 Indosinian Orogeny의 고지자기학적 복원(1 Ma 간격)
- 동아시아 중생대 고지리복원도 작성(120-240 Ma)
6. 모바일 환경지원 지질정보시스템 프레임워크 설계 및 시범 개발
- 콘텐츠 고도화(이용자 수준별 지질정보 접근 인덱스 제작)
7. 지질정보 DB 설계 및 지질정보 시범구축
기대성과 1. 서부 경기지괴 주요 지구조 암체들의 산상/분포특성/지각 진화사 확립
2. 서부 경기지괴 층서·지구조도(축척 1:10만)
3. 중생대 동아시아 고지리 복원도(120-240 Ma, 1 Ma 간격))
4. 모바일 환경지원 지질정보시스템
5. 최신 국가 지질주제도와 현장 지질정보 DB
6. SCI/SCIE/등재 논문 게재 20편 이상
연구성과 논문(30건)
논문 목록
논문명 저자
용유도 흑운모화강암의 Shrimp U-Pb 연령 김동연
ASTER 영상 자료를 이용한 하동지역 고령토 광산 분포 추출 이홍진
Late Ordovician volcanism in Korea constrains the timing for breakup of Sino-Korean Craton from Gondwana 조등룡
Detrital zircon U?Pb geochronology and tectonic implicationsof the Paleozoic sequences in western South Korea 김성원
Evidence for the Jurassic arc volcanism of the Lolotoi complex, Timor:Tectonic implications 박승익
Continental origin of the Bibong eclogit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outh Korea 박승익
Arc magmatism in the Yeongnam massif, Korean Peninsula: Imprints of Columbia and Rodinia supercontinents 김성원
Groundwater Productivity Potential MappingUsing Evidential Belief Function 이사로
경기육괴 동부 오대산 지역의 구룡층군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새로운 후기 고생대층의 인지와 지체구조적 의의 조등룡
Paleozoic tectonics of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nsights from geochemistry, chromian-spinel chemistry and SHRIMP U_Pb geochronology 박승익
Spatial and temporal change in landslide hazard by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probabilistic-based frequency ratio model 이사로
반응형 웹기반 멀티플랫폼 지질정보시스템(MGEO) 개발 한종규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ew detrital zircon SHRIMP U?Pb ages of the Babulu Formation in the Fohoremarea, Timor-Leste 권창우
Ensemble of Ground Subsidence Hazard Maps using Fuzzy Logic 이사로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Gondwana Research (IAGR) 2013 Annual Convention and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ondwana to Asia 이윤수
Landslide detection and susceptibility mapping in the Sagimakri area, Korea using KOMPSAT-1 and weight of evidence technique 이사로
홍성지역 월현리 복합체 내에 분포하는 트라이아스기 심성암류의 지질연대학 및 지화학적 연구 오재호
Depth dependency of stress ratios during the sedimentation of NW Gyeongsang Basin (Cretaceous), southeast Korea: Estimate of stress parameters and timing of tectonic episodes 최범영
Neoproterozoic plutonic rocks from the 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amalgamation and break-up of the Rodinia supercontinent 김성원
표준기반 웹 지리정보 서비스 구현방안 연영광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권창우
Macrobenthos Habitat Potential Mapping using GIS-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이사로
Multiple generations of mafic-ultramafic rocks from the Hongseong suture zone, western South Korea: implication for the geodynamic evolution of NE Asia 김성원
Application of data-driven evidential belief functions to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in Jinbu, Korea 이사로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ectonic implications 김성원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geologic information system using a spatiotemporal ontology model for a geologic map of Korea 황재홍
Detection of landslides using web-based aerial photographs and landslidesusceptibility mapping using geospatial analysis 이사로
경기육괴 서남부 홍성 지역 흑운모 K-Ar 연대 분포의 의미 박승익
미래 확률강우량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 기법 개발 및 검증 이사로
한반도 선캠브리아 지각진화사 이승렬
특허(28건)
특허 목록
특허명 발명자
상황인지에 기반한 사용자 관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온톨로지 구현방법 황재홍
상황인지에 기반한 사용자 관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온톨로지 구현방법 황재홍
미고결 시료의 박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미고결 시료의 고화 장치 최성자
나침반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노미터 장치 김유홍
클리노미터 장치 김유홍
주향 및 경사 측정 장치 및 주향 및 경사 측정 보조 장치 강일모
지리정보시스템 및 뉴로퍼지 기법에 기반한 산사태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 방법 이사로
간이 유용광물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광물 분리 방법 김현철
간이 유용광물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광물 분리 방법 김현철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장치 및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보조 장치 김유홍
광물의 비중을 이용한 광물 분리 장치 김성원
점토광물 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토광물 탐지방법 이홍진
지질암석의 열복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 이홍진
지질조사용 해머 키트 이홍진
시맨틱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사용자 관심정보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황재홍
상황인지에 기반한 사용자 관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온톨로지 구현방법 황재홍
상황인식 온톨로지를 이용한 웹기반 시맨틱 정보검색 시스템 황재홍
주향 및 경사 측정 장치 및 주향 및 경사 측정 보조 장치 강일모
주향 및 경사 측정 장치 및 주향 및 경사 측정 보조 장치 최성자
간이 유용광물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광물 분리 방법 김현철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연영광
클리노미터 장치 김유홍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장치 및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보조 장치 김유홍
지질도 시공간 온톨로지 모델 구축 방법 황재홍
지질 온톨로지 서비스 시스템 황재홍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장치 및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보조 장치 김유홍
주향 및 경사 측정 장치 및 주향 및 경사 측정 보조 장치 강일모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장치 및 선주향 및 선경사 측정 보조 장치 김유홍
보고서(3건)
보고서 목록
보고서명 저자 원문보기
지각진화 추적기술개발 및 지질정보 구축 [2012]. Part.1 : 서부경기지괴 지구조 진화 및 지질정보 구축 최성자 원문보기
지각진화 추적기술개발 및 지질정보 구축 [2013]. Part.1 : 서부경기지괴 지구조 진화 및 지질정보 구축 최성자 원문보기
지각진화 추적기술 개발 및 지질정보 구축 [2014]. Part.1 : 서부경기지괴 지구조 진화 및 지질정보 구축 최성자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