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연구본부소개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지질조사연구본부 -
제4기지질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서·남해 연안육역 환경변화 예측 기초자료 발굴
영문 Basic Data Excavation for prediction of environmental change from Sediments of West and South Coastal Land
연구기간 2013.12.30 ~ 2018.03.31
연구비 1,808,420,000원
연구책임자 양동윤
연구내용 연구목표 - 강진만, 여자만 및 주변지역 단구형 해안에서 극한사건 흔적 추적, 영향범위/빈도 자료 획득
- 고창, 대천천하구, 영광 등 주변지역 고 사구, 사구습지 등에서 극한사건 흔적 추적, 규모/빈도 자료 확보
- 사천만, 강진만 등 주변 지역 암석해안의 극한사건으로 인한 기반암 노출, 삭박 및 퇴적물 퇴적 기록 획득
- 고창, 대천천하구, 영광 등 주변지역 염습지 등 대상 고 퇴적환경 분석, 해수면변동자료 수집 해역자료와 융합 해석
연구내용 - 강진만, 여자만 및 주변지역 단구형 해안에서 극한사건 흔적 추적, 영향범위/빈도 자료 획득 : 양재혁 등에 의한 선행연구로 단구해안의 존재는 알려졌으나, 본 연구 목적인 극한사건과 관련된 연구는 수행된 바 없음. 따라서 본 연구진은 이미 2개소를 선정하여 극한 사건을 추적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 고창, 대천천하구, 영광 등 주변지역 고 사구, 사구습지 등에서 극한사건 흔적 추적, 규모/빈도 자료 확보 : 사구에 대한 연구는 환경과학원에 의해 지형학적, 생물학적 연구가 이뤄짐. 본 연구에서는 시추, 물리탐사, 지화학적인 종합연구를 통해 과거 극한사건을 재현하기 위한 자료를 생산하고자 함. 미국 등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연구가 이미 수행되고 있음
- 사천만, 강진만 등 주변 지역 암석해안의 극한사건으로 인한 기반암 노출, 삭박 및 퇴적물 퇴적 기록 획득 : 기반암 노출연대 등은 Cosmogenic Isotope 연대를 이용해야 하므로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음. 영국 글래스고우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이러한 연대측정기법을 자체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함. 본 연구진은 C-14연대측정, OSL연대측정 기기를 보유하고 있고, 탄소연대의 경우, 연간 800개 이상의 측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Be-10 연대측정법은 개발 중이며, 본 연구에 적용 가능
- 고창, 대천천하구, 영광 등 주변지역 염습지 등 대상 고 퇴적환경분석, 해수면변동자료 수집 해역자료와 융합 해석: 북대서양 주변국들은 방대한 양의 고 환경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환경변화 인자와 폭풍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해수면변동 곡선을 유추함.
기대성과 - 본 연구결과는, 이상기후변동과 극한사상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직접 받는 연안 육역에서 가장 긴요하게 활용될 것임.
- 이상기후 수반 극한사상으로 인한 육역의 지형변화 자료는 장기 연안육역의 지형변화와 연안환경 예측에 필수자료이며, 연안재해취약지 선정과 토지이용관리 시스템에 활용 가능
- 현재까지 한반도에서는 고 극한기후 사상과 고 수문환경변화 정량적 복원 사례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로 이 분야 연구 및 기술개발에 크게 기여
- 연안환경변화에 대비한 사회 간접자본(SOC) 관리 및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는 Cosmogenic isotope의 전처리 및 분석체계를 확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분야 개척의 일각을 구축하게 됨(국내의 다양한 환경변화 및 고재해 연구에 적극 활용 가능)
- 우리나라 고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자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연구의 지속으로 전문연구인력을 양성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고, 향후 연안환경과 관련한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인적 기반을 구축
연구성과 논문(15건)
논문 목록
논문명 저자
입도분포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고창 연안의 과거 퇴적환경 분석 한민
화성 당성 유적 일대의 지형 조사 및 퇴적물 분석을 통한고환경 변화 및 고대 포구 입지 가능성 기초 연구 한민
Shell and gravel layers caused by storm-induced rip currents during the Medieval Warm Period and Little Ice Age in South Korea 양동윤
Typhoon Impact on a Pure Gravel Beach as Assessed through Gravel Movement and Topographic Change at Yeocha Beach, South Coast of Korea 한민
Typhoon Impact on a Pure Gravel Beach as Assessed through Gravel Movement and Topographic Change at Yeocha Beach, South Coast of Korea 한민
Multi-centennial-scale changes in East Asian typhoon frequency duringthe mid-Holocene 양동윤
고창 연안 퇴적물의 입도 특성을 이용한 홀로세 퇴적층 퇴적 환경 분석 한민
한반도 서남해안 MIS 5e 해안단구의 퇴적층 특성 연구 양동윤
고창 장호리 해안사구의 수직 발달 과정 연구 한민
Factors controlling typhoons and storm rain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ittle Ice Age 양동윤
Factors controlling typhoons and storm rain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ittle Ice Age 카츠키 코우타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asedon organic carbon isotope (d13C) and C/S ratios 임재수
OSL dating of coastal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A comparison of different size fractions of quartz 김진철
Middle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in central Korea and its linkageto summer and winter monsoon changes 임재수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nge on Geoje Island,southern coast of Korea, and regional monsoon and temperaturechanges during the late Holocene 임재수
특허(6건)
특허 목록
특허명 발명자
부유토사 채집 장치 양동윤
자갈 입도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한민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양동윤
자성체를 구비한 이동 추적 자갈, 그 제작 방법, 자성체를 구비한 자갈 이동 추적 장치 및 그 추적 방법 한민
토양의 OSL 연대측정을 위한 토양 샘플러 및 토양 시료 보관장치 이진영
RFID 칩을 구비한 이동 추적 자갈, 그 제작방법, RFID 칩을 구비한 자갈 이동 추적 장치 및 그 추적 방법 한민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