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보다 나은 사이트 운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 드립니다.
  • .
  • 모두의 광장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산업생산 및 기술 소속 자원활용연구본부 -
자원회수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납석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 국산화 기술 개발
영문 Process development for the production of pyrophyllite-based raw material for smart-glass manufacturing
연구기간 2018.01.01 ~ 2019.12.31
연구비 1,400,000,000원
연구책임자 김완태
연구내용 연구목표 # 국내 납석기반 디스플레이용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핵심기술 개발
- 원광석 선광기술 확보(Al2O3 19.5% 이상, 철분 0.2% 이하 및 전체 불순물 함량 0.5% 이하)
- 스마트글라스 대응 입도 및 입도분포 제어기술 개발(입도분포 : 100㎛ 100% 및 45㎛ 40% 이하)
- 수분 및 백색도 제어기술 확보(LOI 1% 이하, 백색도 90 이상)

# 디스플레이용 스마트글라스 납석원료 생산 실증화 기술 개발(2톤/시간 파일럿 공정구축)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계, 구축 및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 원료 적합성 평가 및 최종 물성 확보(유리화 특성 및 작업성 확보)
연구내용 (주관기관 - 1차년)
- 납석 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기술 개발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계(2톤/시간)

(협동기관 - 1차년)
- 납석 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공정 개발

(주관기관 - 2차년)
- 스마트글라스 원료 적합성 확보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치/운용/엔지니어링 기술 확보(2톤/시간)

(협동기관 - 2차년)
- 시제품 물성 확보 및 디스플레이 원료 적용성 평가
기대성과 - 세계 최고 품질의 국내 부존 납석광물 고부가가치 활용방안 마련
-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순도 스마트글라스 제조원료(실리카+알루미나)를 국내 부존 납석기반 광물원료로 대채
연구성과 논문(1건)
논문 목록
논문명 저자
Ball Mill Grinding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yrophyllite 이훈
특허(7건)
특허 목록
특허명 발명자
볼 밀을 이용한 조립 분체 생산 방법 김상배
천연 석회석의 고순도화에 의해 제조된 전구체를 이용한 생분해성 골접합용 복합체의 제조방법 조성백
엽납석 품위 향상 방법 최준현
납석 기반 스마트 글라스 제조 방법 배인국
납석의 철 불순물 제거방법 김완태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고순도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조성백
알루미늄 드로스로부터 고순도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지는 고순도 α-알루미나 조성백
보고서(1건)
보고서 목록
보고서명 저자 원문보기
납석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 국산화 기술 개발 [2019] 김완태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