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산업생산 및 기술 | 소속 | 자원활용연구본부 - 자원회수연구센터 |
||||||
---|---|---|---|---|---|---|---|---|---|
과제명 | 국문 | 납석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 국산화 기술 개발 | |||||||
영문 | Process development for the production of pyrophyllite-based raw material for smart-glass manufacturing | ||||||||
연구기간 | 2018.01.01 ~ 2019.12.31 | ||||||||
연구비 | 1,400,000,000원 | ||||||||
연구책임자 | 김완태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 국내 납석기반 디스플레이용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핵심기술 개발 - 원광석 선광기술 확보(Al2O3 19.5% 이상, 철분 0.2% 이하 및 전체 불순물 함량 0.5% 이하) - 스마트글라스 대응 입도 및 입도분포 제어기술 개발(입도분포 : 100㎛ 100% 및 45㎛ 40% 이하) - 수분 및 백색도 제어기술 확보(LOI 1% 이하, 백색도 90 이상) # 디스플레이용 스마트글라스 납석원료 생산 실증화 기술 개발(2톤/시간 파일럿 공정구축)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계, 구축 및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 원료 적합성 평가 및 최종 물성 확보(유리화 특성 및 작업성 확보) |
|||||||
연구내용 | (주관기관 - 1차년) - 납석 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기술 개발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계(2톤/시간) (협동기관 - 1차년) - 납석 기반 스마트글라스 원료화 공정 개발 (주관기관 - 2차년) - 스마트글라스 원료 적합성 확보 -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정 설치/운용/엔지니어링 기술 확보(2톤/시간) (협동기관 - 2차년) - 시제품 물성 확보 및 디스플레이 원료 적용성 평가 |
||||||||
기대성과 | - 세계 최고 품질의 국내 부존 납석광물 고부가가치 활용방안 마련 -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순도 스마트글라스 제조원료(실리카+알루미나)를 국내 부존 납석기반 광물원료로 대채 |
||||||||
연구성과 | 논문(1건) |
|
|||||||
특허(7건) | |||||||||
보고서(1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