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연구본부소개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자원탐사개발연구본부 -
해저탐사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지질·지화학 프록시를 이용한 연안 퇴적층 정밀 분석
영문 High-resolution analysis of coastal sediments using geological and geochemical proxies
연구기간 2013.12.30 ~ 2018.03.31
연구비 912,800,000원
연구책임자 진재화
연구내용 연구목표 - 고 폭풍(paleostorm) 퇴적층 추적을 위한 지질·지화학적 프록시(proxy) 개발
- 홀로세 동안 발생한 고 최대폭풍 주기(frequency) 복원
연구내용 - 서·남해 연안 퇴적층에서 시추코어 획득 및 고해상 비파괴 분석
- 고 폭풍(paleostorm) 퇴적층 추적을 위한 지질·지화학 프록시(proxy) 개발
- 고 폭풍 퇴적층에 대한 고해상 연대측정(14C AMS, OSL)
- 생분대 및 생층서 대비를 위한 석회질, 규산질 미화석 분석
- 홀로세(post-LGM) 동안 발생한 고 폭풍 빈도/주기 복원
- 글로벌 이상기후변화와의 대비, 최대폭풍 원인 규명
기대성과 - 폭풍해일, 슈퍼태풍 등 이상기후변화에 따른 서·남해 고 연안지형변동 범람 모의 기초자료 제공
- 이상기후변화에 수반되는 연안 극한재해 예측을 위한 필수자료 제공
- 연안 인구밀집지 및 산업단지의 안정성 및 연안재해 방재 정책에 기여
연구성과 논문(5건)
논문 목록
논문명 저자
Contrasting sedimentation patterns in two semi-enclosed mesotidal bays along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controlled by their orientation to the regional monsoon climate 홍석휘
Mud deposition on a macrotidal beach: Dasari coastal dune, West Coast of Korea 장태수
황해 동부 연안의 홀로세 해수면 변화: 대리기록과 관측자료를 통한 재검토 장태수
서해안 사구 퇴적층에서의 유기질 미화석을 이용한 고폭풍 퇴적층 인지 가능성 고찰 이상헌
충남 다사리 해안사구에 기록된 폭풍퇴적층 장태수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