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에너지의 생산, 배분 및 합리적 이용 | 소속 | 기획정책본부 - 기획정책본부 |
|
---|---|---|---|---|
과제명 | 국문 | 탄소저감형 해양플랜트 전환기술 개발 및 실증 | ||
영문 | The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Low-Carbon Offshore Platform Repurposing Technologies | |||
연구기간 | 2025.04.01 ~ 2028.12.31 | |||
연구비 | 2,100,000,000원 | |||
연구책임자 | 이현석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최총목표] 신사업 확산을 위한 공통 활용 동남아 해양 설비 용도 전환 전과정 평가기술개발 1) 자료수집 및분석 2) LNG 재기화 설비 개조 평가기술 개발 3) C02 주입설비 개조 평가기술 개발 4) 현장조사 상용 규모로스케일업 가능한동남아 맞춤 탄소저감형 노후해양플랜트 개조전환 엔지니어링 핵심 기술 개발 1) (LNG) 대상플랫폼선정 및현장조사 2) (LNG) 최소 750mmscfd 규모로 스케일업 가능한 LNG 재기화 기본설계 3) (LNG) 최소 750mmscfd 규모로 스케일업 가능한 LNG 재기화 상세 (Upto 60%) 설계 4) (CCS) 저장소 평가 5) (CCS) 저장소 선정 6) (CCS) 연간 최대 200만톤 주입공정 Pre-Feed 7)(공동) 저탄소 및 고효율 에너지 관리 및 원격 모니터링 운용시스템 개발 현지시장 적합성 검증 및 개선을 위한 평가모델 LNG 재기화 설비 현장실증및평가 1 ) 최 대 20mmscfd급 실증 콘셉트 선정 2) 프로젝트승인 3) 실층장비 제작 4) 설치를 위한 사전준비(현장조사) 5) 해상공사 6) 운용및매뉴얼 7) 사업화 방안 8) 사후관리 | ||
연구내용 | [연구개발내용] 동남아 해양설비용도전환전과정평가기술개발 1) 자료수집 및분석 - 현지 인허가 가이드라인 개발 - 연구 협약을 통한 기밀데이터 확보 후 목록화 - 상하부구조물, 해저설비 검토, 환경 데이터 분석 등 2) LNG 재기화 설비 개조 평가기술 개발 - TEA/LCA 기반 LNG 재기화 설비 개조 평가기술 수립 및 검층 - 전과정평가표준작업절차서수립 3) 주입설비 개조 평가기술 개발 -TEA/LCA 기 반 CO2 주입설비 개조 평 가기술 수립 및 검증 -전과정평가표준잔업절차서 수립 4) 현장조사 - 실증 대상지 현장조사 - LNG 실증 타당성조사 수행 口동남아 맞춤 탄소저감형 해양플랜트 전환 엔지니어링 핵심기술 개발 1) (LNG) 대상플랫폼 선정 및 현장조사 - 타당성조사 요구사항 수립 - 필요자료 수겁/접수 및 타당성 조사 -현장실사실시 2) (LNG) 최소 750mmscfd 규모로 스케일업 가능한 LNG 재기화 기본 설계 - PFD, Preliminary Layout, Structure Calculation, etc. - NG 송출 및 기존파이프라인 연계 방안분석 - 원격제어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3) (LNG) 최소 750mmscfd 규모로 스케일업 가능한 LNG 재기화 상세(Upto 60%) 설계 - P&ID, Data Sheet, 3D Modeling, etc. - Feed Package 작성 및 검증 4) (CCS) 저장소 평가 - 대상 광구 탄성파 층서 체계 분석 - 덮개암/저류층 평가기술개발 - 코아실험 평가기술개발 5) (CCS) 저장소 선정 - 덮개층 퇴적환경 분석 - CO2 주입 시나리오 설계 - 복합층 저장소 규모 최적화 시나리오 설계 6) (CCS) 연간 최대 200만톤 주입공정 Pre-Feed - 주입공정 개념설계 및 상세설계 - Pre-Feed Package 설계 - 상용규모 CCS 및 부유식 CCS 경제성분석 7) 공통) 저탄소 및 고효율 에너지 관리 및 원격 모니터링 운용시스템 개발 - 에너지관리시스템 설계 및 검증 | |||
기대성과 | -국내기업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진 LNG 재기화 기술을 해양플랜트 용도전환 방식에 활용 함으로써 해양플랜트 재활용 사업계에 신규 분야 개척으로 경쟁력 확보전망 -우리나라와우호적인 관계에 있는 인니와의 적극적인 공동연구와사업 협력율통해 해외 저 장소확보에큰기여 -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탄산염·복합층의 코아실험결과(습윤특성, 투수율, 광물반응 메커니즘 등) 저류물성 DB 및 전산시뮬레이션 기술은 고갈 저류층을 활용한 CO2 주입 ·저장 설계에 직접 활용될수있음. - 국내 산업계에 최적화된 표준절차서의 보급율 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진출 관심도 제고및리스크최소화 -운영 중단된 해양 유가스 플랫폼에 에너지관리 시스템의 적용에 대한 겅증과 실증을 동해 향 후 동남아 노후 해양플랜트의 전환 활용시 에너지 관리를 통한 활용성을 확대 |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0건) | ||||
보고서(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