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지구개발 및 탐사 소속 자원탐사개발연구본부 -
석유·미래에너지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가스하이드레이트 R&D 사업 기획 연구
영문 Planning study for Gas Hydrate R&D project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연구비 300,000,000원
연구책임자 김성일
연구내용 연구목표 ◦ 국내 GH 탐사·개발생산 연구성과 및 기술 동향 분석 ◦ 국외 GH 기술 동향 및 국제공동 기반 연구 잠재성 분석 ◦ 신규 GH 연구개발 주제 기획
연구내용 1) 국내 GH 관련 전문가 대상 R&D 기술 분석 및 수요 조사 진행 - 기존 GH R&D 생산 기술을 다양한 GH type에 적용 가능성 모색 - GH 활용 가능한 신규 기술 분야 R&D 수요 조사 진행 2) 국외 각국 GH 연구개발 기술 동향 파악 및 국제협력 기반 마련 - 미국 USGS와 일본 JOGMEC의 알래스카 대상 GH 시험 생산 관련 현황 파악 - 중국 China Geological Survey(Qingdao Institute of Marine Geology) 기관의 남중국해 GH 관련 자료 및 기술 동향 파악 - 독일 GEOMAR(Heckel그룹), GFZ-Potsdam(Schick그룹) 연구소 SUGAR 프로젝트 이후 연구 개발 현황 분석 - 프랑스 CNRS(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기관의 CCS 관련 GH 연구 개발 현황 분석 3) 향후 GH 사업 추진을 위한 R&D 기술 다양성 확보 - 침니 type GH에 대한 개발 생산 및 부존 특성 자료 조사 ·침니 type GH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생산 기법(감압법, 치환법, 융합법) 자료 조사 ·국내 침니 type GH 대상 부존량 및 지질학적 부존 특성 데이터 체계화 - 타 분야 및 유관 ·조선/해양 분야에서 유동 견실성 측면에서의 GH 활용 기술 자료 분석 ·해수 담수화, 방사성 폐수 속 오염물질 제거, 배기가스 흡착 등 GH 관련 기술 자료 분석 ·CCS 관점에서 GH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 동향 조사 - 기 확보한 인공지능(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술의 GH 생산 및 탐사 데이터에 확대 적용 ·GH 주요 인자를 특성화하는 기술 개발(CT, XRD, 물리검층 데이터 활용) 확대 적용 ·GH 물리탐사 탄성파 데이터에 대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 모색
기대성과 ◦국내 GH 생산기술의 수준 진단을 통한 핵심기술 개발 방향성 확립. GH 타입별 최적 생산 공정 도출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 체계적인 기술 수요 분석을 통한 효율적 R&D 투자 방향 설정. 신규 적용 분야 발굴을 통한 GH 기술의 산업적 활용도 확대 ◦국내 GH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 분석을 통한 기술 수준 향상 방안 도출. 탐사 및 생산 분야의 핵심기술 현황 파악을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 울릉분지 시험생산 시스템 분석을 통한 실증 기술 확보 및 상용화 기반 구축. 국내 GH 기술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 로드맵 제시 ◦국외 주요국의 GH 기술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기술 격차 파악 및 발전 방향 수립. 국외 성공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효율적 기술개발 전략 수립. 국제 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도출 ◦주요 GH 연구기관과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선진 기술 확보 기반 마련 및 기술 격차 해소. GH 시험생산 경험국과의 기술 교류를 통한 현장 운영 노하우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협력 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한 기술 협력 체계 확립. 글로벌 수준의 GH 개발 역량 확보를 위한 협력 기반 강화 ◦인공지능 기술 적용을 통한 GH 개발 효율성 향상. 비전통 GH 생산 기술 최적화 및 침니형 GH 개발을 통한 기술 다각화 실현. 타 분야 우수 기술의 융합을 통한 기술혁신 가속화.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한 새로운 연구 영역 개척으로 GH 연구의 사회적 가치 제고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