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자원활용연구본부 -
탄소자원화연구실
과제명 국문 e-생물·광물·화학 융합(미세조류, bio-플라스틱 원료 (FDCA))
영문 e-bio conversion-mineral carbonation-chemical convergence(micro-algae, feedstock for bioplastic (FDCA))
연구기간 2025.05.01 ~ 2030.04.30
연구비 7,500,000,000원
연구책임자 조환주
연구내용 연구목표 광합성, 광물화, 전기화 화학전환 기술의 유기적 융합을 통해 기존 생물학적 CCU 기술 단독 활용에 비해 면적 당 CO2 저감 능력이 8배 향상된 융합공정 개발
연구내용 요소기술1 AI-Bio 및 합성생물학 기반 면적집적형 전기화 생물공정 기술 개발 요소기술2 무포집 광물탄산화 기반 생물전환 융합공정 기술 개발 및 바이오광물화/광합성 가속화 기술 개발 요소기술3 미세조류 유래 비식용 탄수화물 기반 e-플라스틱 원료(FDCA) 생산 기술 개발
기대성과 무포집 태양광-CFE 하이브리드 광합성·광물탄산화 융합공정에 최적화된 세계 최고수준 바이오매스 생산성 (≧120 kg biomass m-3 yr-1) 미세조류 균주 1종; 바이오광물화 기술 기반 CO2 저감 계수 제고 (2.30 kg CO2/kg biomass); 공정 면적 집약도 0.303 m3/m2 달성; 40 m3 규모 광합성·광물탄산화 융합 실증 공정 모듈 1기 (5톤/년 규모 광물탄산화 공정과 10톤/년 규모 광합성·바이오광물화 one-pot 공정 연계; 총 15톤/연 규모) 구축 및 장기 운전 데이터; 양이온 공급 실증 설비 1기 및 장기 운전 데이터; 기존 식용 바이오매스 기반 FDCA 제조 상용 공정 대비 CO2 감축량 50% 향상 FDCA 모노머 생산 통합공정 기술 개발 및 실증; 핵심 기술의 기술이전 (>15억 원); 5,000 톤 CO2/연 저감형 대규모 공정 설계서 1종; FDCA생산 5천톤/연 설계서 1종 도출; SCI(E) 논문 3편 이상 게재 (NSC(+자매지) 1편 포함)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