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목적분류 | 우주개발 및 탐사 | 소속 |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 - 지질자원융합실증연구실 |
|
---|---|---|---|---|
과제명 | 국문 | 우주에서 농사짓기 : 행성 거주성 확보를 위한 작물 재배토 및 재배 최적화 기술 개발 | ||
영문 | Farming in Space: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Cultivation Soil for SecuringPlanetary Habitability | |||
연구기간 | 2025.07.01 ~ 2030.06.30 | |||
연구비 | 2,050,000,000원 | |||
연구책임자 | 김재환 | |||
연구내용 | 연구목표 | 테라포밍을 위한 우주환경 작물재배 기질 개발 및 최적화 기술 연구 | ||
연구내용 | □ 최종목표(End-Point) ○ (1단계)행성 거주를 위한 식량 자급자족 시스템을 개발하고, (2단계)우주환경(미세중력·진공·방사선)에서 “표준 모델 식물 1종”, “식용작물 1종” 재배 가능성을 검증 - (핵심목표) 표준 식물 모델 1종(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식용작물 1종(감자) 우주환경에서 재배 - (성능지표) (NASA 및 UCF 모사토 대비) 광물함량비 80% 유사도, (단순 모사토 대비 기질 첨가 후) 작물 생장율 ≥20%, (우주 적용성 대사물질 도출 후) 대사체·생육 예측 모델 ○ (식량 자급자족 시스템) ①달·화성·소행성 작물 재배토, ②폐쇄형 우주환경 작물 생장 챔버, ③우주환경 적응 대사경로 모델 3가지 최종산출물이 융합한 시스템 □ 세부과제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세부과제1) 행성 작물 재배토 개발 - 기존 모사토(달·화성)의 광물함량비에 대해 80% 유사도를 가지는 모사토 각 1종, 그리고 신규 소행성 모사토 1종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한 재배토(기질)를 최종 개발(작물 생장율 증가) ○ (세부과제2) 우주환경 모사 작물 생장 챔버 구축 및 작물 스트레스 감소 기술(소재) 개발 - 다중 스트레스(산소 10% 이하, 조도 3종, 미세·고중력 0.25-5G) 구현 가능한 폐쇄형 작물 재배 챔버를 구축하고, 스트레스 감소 소재 3종 개발 ○ (세부과제3) 우주환경 적응 대사경로 모델 개발 - 우주환경 적응 대사체 후보물질 100종, 반응 대사경로 10개, 대사체-생육 예측 모델 1건 개발 | |||
기대성과 |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타 행성 탐사·기지 건설 시, 식량 자급자족 시스템으로 활용 ○ 식물 재배에 대한 유기적 데이터 흐름(토양 물성→작물 생장→대사체 반응 →재배 시스템 최적화)을 확보, 국제표준화(표준특허 2건·국제표준 1건) 기반 마련 □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2035년 이내 실제 우주현지실증 수행(△국제우주정거장 또는 △달 현지)작물 재배 우주현지실증 국가 7위권 이내 달성 ○ 세계 우주농업 시장에서의 경제적 파급효과 9년간('34~'42년) 약 60억원 발생국내 우주농업 인프라 구축 1곳, 우주농업 전문인력 양성 30명(연구진 포함) | |||
연구성과 | 논문(0건) | |||
특허(0건) | ||||
보고서(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