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과제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지구환경연구본부 -
탄소저장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CCS 통합 시스템 네트워크 최적화 및 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CS System for Network Optimization and Safety Assurance
연구기간 2025.07.01 ~ 2028.12.31
연구비 540,000,000원
연구책임자 김태우
연구내용 연구목표 CCS 통합 시스템 네트워크 최적화 및 안전성 확보를 통해 여수·광양 산업단지의 국내 다중 포집원과 해외 다중 저장소를 연계하는 국제 CCS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설계 최적화를 통한 효율 향상(20% 이상) 및 불순물 관리 기술 확보
연구내용 [1차년도 목표] o 국내 다중 포집원-저장소 연계를 위한 CO2 수송 네트워크 시나리오 및 비용 구조 분석 o GCP 허브 단위공정 정의 및 핵심 요소 DB 구축 (불순물 영향 포함) o 호주·인니 저장소 연계 국제공동연구 체계 및 제도적 기반 마련 o LCO2 선박 수송 및 배관 수송 조건 인자 도출, 수송·주입 시스템 기초자료 확보 o LCA 분석 기반 공정모델 기초 데이터 수집 및 저장소 주입성 DB 확보 o 포집원 참여방안 및 CCS통합계획 수립을 위한 컨소시엄 협력체계 구축 [2차년도 목표] o AI기반 비용-편익 예측 프로토타입 구축 및 시나리오별 경제성 평가 o GCP 허브 정적 모델 개발 및 국내외 수송 인프라 설계 구체화 o CO2 전처리 및 배관 수송 최적 설계안 도출, 선박 수송 운임 산정 o 인니 저장소 상세 평가 및 국제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 벤치마크 확보 o 저장소별 주입 반응 분석 및 다중 저장소 주입전략 기준 설정 o LCA 기반 CCS 공정 모델 초기 구축 및 통합 경제성 분석 기반 마련 [3차년도 목표] o 전주기 LCA 기반 통합 CCS 경제성 분석모델 고도화 o 여수·광양-GCP 허브 간 최적 배관망 및 전처리 조건 도출, 운송 시스템 설계 최적화 o 저장소 특성 기반 정적 모델 및 주입전략 모델링 수행 o CO2 주입 안정성 평가 및 다중 저장소 주입 시나리오 개발 o 국제 제도 장벽 분석 및 국경통과 CCS 정책·기술 연계 로드맵 수립 o 주요 연구성과 통합 및 실증 기반 사업화 전략 마련 [4차년도 목표] o AI-LCA 통합 기반 CCS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 o 여수·광양 다중포집원-GCP 허브 연계 최적 수송 네트워크 경제성 평가 o 인니 저장소 최종 후보지 선정 및 GCP Pre-FEED 설계안 개발 o 수송-주입 시스템 안전성 검증 및 설계 가이드라인 제시 o 저장층 주입 효율 평가 및 CO2주입성 최적화 o 지속가능한 국제 협력 및 정책 제언 보고서 작성
기대성과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국내 다중 포집원을 대상 CCS 통합 시스템 네트워크 최적화의 일환으로 개발된 GCP 허브 개념설계는 향후 국내 CCUS 집적화단지 개발에 활용 - 불순물 함량, 수송 유량 등 CO2 배관 수송 조건의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 결과는 향후 CO2 수송 배관 설계 최적화에 활용 o EPC 기업이 GCP 허브 개념 설계를 Pre-FEED 패키지로 발전시키면 여수·광양 지역 CCUS 집적화단지를 비롯하여 국내 주요 집적화단지 구축 기획에 활용 o 개발된 수송 최적화 모델을 CCS 네트워크 운영 소프트웨어로 고도화하여 향후 CCS통합 시스템의 실시간 운영에 적용하여 수송 효율 향상 o CCS 통합 시스템 네트워크 경제성 분석 및 전과정평가(LCA) 결과는 향후 CCS 사업 모델 개발에 활용 가능하며, 본 과제를 통해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경제성 확보 가능한 수송 네트워크 설계 및 공정 최적화에 활용 가능 o 국내·외 저장소 특성에 따른 CO2 주입 및 저장 극대화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외 CO2 저장소 운영전략 수립 시 현장 특성을 반영하여 CO2 주입정 위치 및 주입 시나리오 최적화에 활용 o CCS 시스템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모델 시뮬레이션 및 검증을 통해 최적 운영/관리 가이드를 개발하여 향후 국경통과 CCS 사업 개발에 활용 o 정부 부처 및 유관 기관에 성과를 공유하여 정부 정책 수립 및 CCS 사업 지원/인허가 제도 개선에 활용 - LCA 경제성 평가 결과를 정부 탄소중립 시나리오 보완, 탄소세 기준 수립 등 정책자료에 반영 - 해외 CCS 사업 정책 및 지원제도를 기반으로 국경통과 CCS 사업의 선제적 대응 전략 수립 및 국가별 제도 차이에 따른 리스크 사전 분석 o 종합적으로, 국내 최초의 CCS 클러스터 기술개발과 CCS 전주기 경제성 및 온실가스 저감량 평가를 통해 국경통과 CCS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성과 논문(0건)
특허(0건)
보고서(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