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GAM 알림창

  • 화재 예방을 위해 집에서는 불필요한 가연물(헌옷, 신문, 박스 등)을 쌓아두지 말고, 인화성 액체나 가스를 방치하지 않으며 전선을 보이지 않는 곳에 늘어뜨리지 않습니다. 라이터와 성냥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고, 가스불을 켜둔 채 주방을 비우지 않으며 흡연은 자제하거나 큰 재떨이를 사용합니다.

고층 아파트에서는 발코니 비상문과 칸막이벽을 확인하고 통행을 막지 않으며, 피난계단이 연기에 오염될 경우 창문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비합니다. 주상복합은 밀폐 가능한 작은방 등 안전구역을 확보합니다. 사무실은 정기적으로 대피훈련에 참여하고 전기기구를 점검하며, 비상구에 물건을 두지 않습니다.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때는 출입구 외 비상구 위치와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지하층이나 미로형 건물은 대피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전기 안전을 위해 합선 시 정격 퓨즈와 차단기를 사용하고 노후 전선을 교체하며, 누전 시 회로별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피복 손상을 점검합니다. 스파크 발생을 막기 위해 사용 후 플러그를 뽑고 분진을 제거하며 문어발식 사용을 금지합니다.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장판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백열전구 주변에 가연물을 두지 않습니다.

화재 발생 시에는 “불이야”라고 외치고 경보벨을 누르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합니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는 젖은 담요나 수건으로 몸을 감싸고, 문 손잡이가 뜨거우면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습니다. 연기가 많을 때는 낮은 자세로 이동하며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습니다. 옷에 불이 붙으면 바닥에서 뒹굴어 끕니다. 밖으로 나온 뒤에는 절대 재진입하지 않습니다.

119 신고 시에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화재 원인을 침착하게 알리고 소방서에서 확인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습니다. 공중전화와 휴대전화 모두 긴급통화가 가능하며 장난전화는 금지됩니다.

지하철 화재 시에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하고 소화기를 사용하며, 문이 열리지 않으면 망치나 소화기로 유리창을 깨고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합니다. 지하상가 화재 시에는 경보기를 누르고 침착하게 한 방향으로 대피합니다. 고층건물 화재 시에는 문을 닫고 탈출하며 낮은 자세로 이동하고, 밖으로 나오면 안전한 장소에서 인원을 확인하고 구조대원에게 정보를 전달합니다.

옥내소화전은 발신기 스위치를 누른 뒤 소화전 문을 열고 호스와 노즐을 꺼내 밸브를 개방하여 불이 난 곳에 물을 뿌립니다.
  • 「기후와 재해의 경고 과학이 지키는 삶 심포지엄」
  • .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연구분야 특허목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과제 상세정보의 과제목적분류, 소속, 과제명(국문, 영문),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책임자, 연구내용(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성과), 연구성과(논문, 특허, 보고서)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과제목적분류 환경보전 소속 지구환경연구본부 -
지하수환경연구센터
과제명 국문 기후변화대응 대용량지하수 확보 및 최적활용 기술개발
영문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ies for Securing and Utilizing Large-Scale Groundwater Resources
연구기간 2020.01.01 ~ 2024.12.31
연구비 21,334,913,000원
연구책임자 문희선
연구내용 연구목표 /주요 권역(금강/낙동강/한강 권역) 지하수 정보지도(부존지도/수질지도/유망취수원도) 작성 /기후변화 대응 건전한 지하수 순환 및 지속가능한 지하수 활용 체계 설계
연구내용 /지하수 정보지도 작성 표준(안) 도출 및 물부족 지역 지하수개발 최적지 선정기술 개발(금강 권역) /지하수 부존지도/ 수질지도/ 유망 취수원도 작성(낙동강 권역) 및 지속가능 활용성평가 기술 개발 /지하수 부존지도/ 수질지도/ 유망 취수원도 작성(한강 권역) 및 지속가능 활용체계 설계 /지하수의존계 기후변화 취약지역 분석(금강, 낙동강, 한강 권역) 및 물환경 변화 예측(낙동강, 한강 권역)
기대성과 /건강하고 안전한 지하수 이용과 가뭄 취약 지역에 지하수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국민 생활 안전과 물복지 향상에 기여 /지하수의존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기후변화 대응 지하수의존계 관리를 통한 생태계 서비스 질 향상
연구성과 논문(30건)
논문 목록
논문명 저자
Hydrochemical and isotopic comparison of crystalline bedrock aquifers in two geological disposal research sites in South Korea using samples collected during and after borehole drilling 유순영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수자원의 공간적 해석과 문화적 가치부여에 대한 제안 최한나
서천 해안지역 길산천 소유역에서의 고염분 지하수와 씻김 현상 문상호
Integrated application of a Bayesian mixing model, numerical model, and environmental tracers to characterize groundwater recharge sources in a mountainous area 이은희
Genomic Analysis of HalotolerantBacterial Strains Martelella soudanensisNC18T and NC20 이정윤
New semi-analytical solutions to the radial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for solute transport in a transient divergent radial flow 석희준
농업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및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김동훈
수문곡선의 기저유출분리 방법에 대한 고찰 문상호
계절에 따른 습지 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모니터링을 통한 지하수의존생태계 특성 평가 정찬영
동해안 석호 담염수 혼합대에서 지하수와 지표수 상호작용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평가 전우현
Characterizing land use effect on shallow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using self-organizing map and buffer zone 이충모
Estimating Anthropogenic Effects on a Highly-Controlled Basin with an Integrated Surface-Subsurface Model 이은희
A continuous radon monitoring system for integration into the climate change observation network 이길용
Tritium and Stable Isotope Content Variation in Precipitation at Hongseung:West Korea Region 윤윤열
암반 대수층에서 개방형 지열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심병완
Characterization of Martelella soudanensis sp. nov., Isolated from a Mine Sediment 이정윤
Conceptualizing a multi-layered shingle aquifer model based on volcanic stratigraphy and water inflow to lava caves in Jeju Island, Korea 고동찬
Recharg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ydrochemistry in the Geum River Basin, South Korea 최한나
Changes in Stream Aquifer Interactions Due to Gate Opening of the Juksan Weir in Korea 이현주
Determination of optimal well locations and pumping/injection rates for groundwater heat pump system 박동규
군집 분석과 지하수위 모델을 이용한 인위적 하천수위 조절에 따른 지하수위 영향 정량적 평가 정병주
만경·동진강 유역 지하수의 수화학적 특성에 대한 예비 평가 최한나
옥천층군 일대의 지표방사능과 감마선량 평가 윤욱
Groundwater Impacts from the M5.8 Earthquake in Korea as Determined by Integrated Monitoring Systems 이수형
Effects of Baekje Weir Operation on the Stream?Aquifer Interaction in the Geum River Basin, South Korea 이현주
Evaluation of Ground Temperature Changes by the Operation of th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and Climate Change in Korea 김성균
대용량 바이알을 이용한 삼중수소 분섭법 비교연구 윤윤열
Radon concentrations in raw water and treated water used for bottled water in South Korea 조병욱
State and Strategy of Production, Market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Mineral Water, South Korea 이병대
Characterization of Aquifer Hydrochemistry from theOperation of a Shallow Geothermal System 최한나
특허(2건)
특허 목록
특허명 발명자
담염수 경계면 모니터링용 무선 센서기구 설치장비 김용철
토양의 포화 수리전도도 측정을 위한 변수두 투수시험 방법 및 장치 이봉주
보고서(2건)
보고서 목록
보고서명 저자 원문보기
기후변화대응 대용량지하수 확보 및 최적활용 기술 개발 김용철 원문보기
기후변화대응 대용량지하수 확보 및 최적활용 기술 개발 문희선 원문보기